✚ [생활에 유용한 복지서비스] 사회적 기업 블룸워크, 수어놀이카드 출시 및 안내
✚ [주요일정] 2022년 ‘제42회 장애인의 날’ 안내
< 개 요 >
- 2022년 「제42회 장애인의 날(’22.4.20.)」을 맞이하여 4월 장애인 주간(4.18.~4.22.)에「장애인구 통계로 본 경기도 장애인복지 10년의 변화」 카드뉴스 및 유튜브 영상을 제작 및 게시하여 경기도 등록장애인 현황 파악과 장애인복지에 대한 관심을 제고하기 위해 배포하고자 함
※ 자세한 사항은 장애인 주간(4.18.~4.22.)에 경기도장애인복지종합지원센터 홈페이지(https://www.ggnurim.or.kr) - 오른쪽 하단 누림센터 페이스북 페이지를 통해 확인 가능함
< 주요내용 >
「장애인구 통계로 본 경기도 장애인복지 10년의 변화」
- “경기도 장애인구의 변화” 편 ① -

년 장애인의 날을 맞아 경기도 장애인복지의 현주소를 살펴보기 위해 2012년과 2021년의 경기도 장애인구의 변화를 소개함
< 데이터 소개 >
장애인현황과 사회보장정보시스템의 행복e음에서 제공되는 데이터를 사용함

· 4.18.(월): 경기도 장애인구의 변화
· 4.19.(화): 경기도 등록장애인 현황
· 4.20.(수): 경기도 장애유형별 장애인구의 변화
· 4.21.(목): 경기도 연령별 장애인구의 변화
· 4.22.(금): 경기도 권역별 장애인구의 변화

- 전국 주민등록인구는 2012년 대비 690,537명 증가한 51,638,809명임
- 2021년 기준 전국 등록장애인 2,644,700명 중 경기도 등록장애인은 578,668명으로 10년 전 대비 14.4% 증가함

- 지체장애인은 2012년 271,452명, 2021년 266,179명으로 1.9% 감소함
- 반면 발달장애인의 경우 2012년 38,225명 2021년 56,450명으로 47.6% 증가함

기존 장애등급 기준 1급에서 3급까지의 등록 장애인은 장애의 정도가 심한장애인으로 4급에서 6급까지의 등록장애인은 장애의 정도가 심하지 않은 장애인으로 구분함
-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은 2012년 대비 9.2% 증가한 21,806명이며, 장애 정도가 심하지 않은 장애인은 17,7% 증가하여 2021년 기준 364,862명이 등록함

- 2012년에는 여성장애인 203,876명 남성 장애인 301,643명임
- 2021년에는 여성장애인 234,577명 남성 장애인 344,091명으로 증가함

-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50대까지의 인구는 감소폭을 보이고 있음
- 반면, 60대 이상의 고령장애인 인구는 2021년 기준 345,565명으로 2012년 229,305명에 비해 50.7% 증가함
< 생활에 유용한 복지서비스 >
[사회적 기업 BLOOMWORK(블룸워크)] 장애인식개선을 위한 수어놀이 카드 출시
• 기관소개
- 장애인식개선 및 장애인 예술가를 지원하는 사회적 기업
• 주요내용: 장애인식개선 굿즈로 새롭게 출시된 수어놀이카드 출시
- (구 성) 일상에서 사용하는 기초적인 수어를 16개 카드에 담음
- (카드앞면) 수어하는 캐릭터 / (뒷면) 수어의 뜻과 동작설명 / (큐알코드) 한국수어사전*의 영상 확인 가능
* 한국수어사전: https://sldict.korean.go.kr
※ 자세한 사항은 블룸워크 홈페이지 (https://bloomwork.io/)를 통해 확인 가능함
• 문 의: 블룸워크(☎0507-1439-7933)
< 주요 일정 >
■ '장애인의 날'이란?
- 장애인에 대한 국민의 이해를 깊게 하고 장애인의 재활 의욕을 높이기 위해 제정된
대한민국의 법정 기념일로, 날짜는 매년 4월 20일임
- 4월 20일을 ‘장애인의 날’(이전 재활의 날)로 정한 것은, 4월이 1년 중 모든 만물이 소생하는 계절이어서 장애인의 재활의지를 부각시킬 수 있다는 데 의미를 둠
- 1972년부터 민간단체에서 개최해 오던 4월 20일 ‘재활의 날’로 1981년부터 나라에서 ‘장애인의 날’로 정하고 지금까지 기념행사를 진행함
• 행사일정: 2022. 4. 20.(수) 11:00 / 20일 이후 유튜브 시청
• 주 최: 사단법인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02-783-0067)
• 시청방법: 유튜브를 통해 시청 가능
※ 자세한 사항은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 홈페이지 (http://kodaf.or.kr/) – 커뮤니티 – 회원단체소식을 통해 확인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