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형 평가'로 깨진 신뢰, 어떻게 회복할까
'서울형 평가'로 깨진 신뢰, 어떻게 회복할까
  • 남성주 (도봉서원종합사회복지관 관장)
  • 승인 2019.04.05 13: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18년 평가결과를 누군가의 카톡을 통해 전해듣고 어이없어 하고 있으니 아들이 묻는다.
아들 “평가를 하면 결과가 나오는게 당연한데 왜 그러세요?”
나 “시험결과에 이의가 있어서 문제 제기를 했는데, 학생들의 알권리를 위한다는 이유로 선생님은 나에게 말도 없이  학교 홈페이지에 결과를 공개한다면 어떨 것 같니.”
아들 “……… ㅠㅠ”

서울형 평가 설명 (서울시복지재단 홈페이지 캡쳐)
서울형 평가 설명 (서울시복지재단 홈페이지 캡쳐)

2018년 사회복지관 ‘서울형 평가’에 대한 이야기가 여기저기서 회자되고 있다.

논란을 정리해보자면 우선 ‘서울형 평가’가 질적평가로 합당했는지를 비롯해 위원 선정과 교육의 충실도, 운영주체인 서울시와 서울시복지재단이 평가과정의 전반을 잘 수행했는지 여부 등이다.
지표개발부터 결과 보고회까지, 평가 전과정에서 민관협치를 외치며 참여시키다 정작 결과 공표를 위한 최종회의에서만 ‘피평가자 협의사항’이 아니라는 이유로 그간 협력해온 3개 협회를 참여시키지 않았을까. 또 평가 최종결과를 왜 각 기관에 알리지 않고 갑자기 공표한 이유는 뭘까.

일명 ‘서울형 평가’는 그간 복건복지부의 평가의 지향점인 양적평가가 아닌 질적평가를 지향하고 있었기에 일선 사회복지관에서도 많은 기대를 갖고 적극 참여했다.

사회복지관, 아니 일선 사회복지관 관장인 필자는 서울시와 서울복지재단을 신뢰했고, 그 성과를 기대했다.
질적평가를 통해 얻는 성과가 분명 양적평가와는 다를 것이라는 기대, 시범평가를 통해 나타난 문제점에 대한 보완을 요구했고, 이를 반영하겠다는 답변이 있었기 때문에 그간 가장 문제시 된 평가위원 간 동일한 평가 기준을 정립하고, (평가)결과에 따라 ‘줄세우기 식’이 아닌 보다 발전된 사회복지사업을 위한 활용에 쓰일 것 등을 기대했다.

그러나 기대와 신뢰는 여지없이 깨지고 말았다.
시범평가까지 유지되던 질적평가는 복지부 평가지표와 결합하며 질적도 양적도 아닌, 모호한 성격의 평가로 바뀌었다. 또 평가위원들을 급하게 위촉해 가장 중요한 평가위원 교육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했다.

평가 결과의 활용도 실망스럽다. 그간 현장에서 요구했던 것과는 정반대의 행동을 보였다.
한밤에 보도를 요청하는 엠바고로 정제되지 않은 총평과 평가 값을 그대로 발표한 서울시와 서울시복지재단의 의도가 무엇인지 알 수는 없으나, 결국 사회복지시설 간 ‘줄 세우기’를 함으로써 그동안 평가를 위해 민관협력에 적극 참여한 3개 사회복지시설들을 농락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논백리더십이라는 책에 이런 도식이 있다.  ‘신뢰=성과–기대’
얻는 성과에 비해 기대가 크면 신뢰가 깨진다는 위 공식을 다시 상기해 볼 필요가 있다.

서울시와 서울시복지재단은 ‘2018 서울형 평가’의 준비와 진행과정에서 분명 이제까지와 다른 유의미한 큰 성과가 있을거라 기대하게 했다. 질적인 평가가 갖는 의미를 강조했고, 사회복지종사자 평가위원들에게 여러 차례 교육을 실시했으며, 진행 전반에 있어 각 협회장을 대표로 하는 운영위원들과 소통하는 모습을 보여 더욱 기대감을 크게 했다.

그러나 10개 평가조의 평가위원장인 교수 선발이 늦어졌고, 교육이 충실히 수행되지 않음으로 인해 평가 과정에서 다양한 문제를 노출했다. 결국 중간 발표한 평가 결과를 사회복지시설들이 인정하지 못하고 이의를 제기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이런 상황에서 서울시와 서울시복지재단은 민관협력을 무시한채 일방적인 발표를 자행함으로써 그동안 축적한 신뢰를 한 순간에 무너뜨리고 말았다.

잘못은 저질러 졌고, 상처와 분노로 인해 그간 잘 구축됐던 민관의 신뢰는 무너졌다. 그렇다고 이렇게 협력관계를 끝낼 수도, 평가를 안할 수도 없는 난제를 만났다. 이제는 이 문제를 풀고, 무너진 신뢰를 회복해야 하는 막다른 길에 들어선 것이다.

남성주 도봉서원종합사회복지관 관장
남성주 도봉서원종합사회복지관 관장

결자해지(結者解之)라고 했다.

문제를 일으킨 장본인인 서울시와 서울시복지재단이 이 난국을 어떤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을지 주목해야 한다.
지역사회와 시민들을 위해 최일선에서 서울시와 협력하며 사회복지정책을 수행하는 우리 사회복지관들의 신뢰를 회복할 수 있는 해결책을 제시할 것인지 지켜보자.